데이터 분석 part

if문(조건문), for문, while문(반복문)

bleufonce 2025. 2. 9. 01:59

< if 문 (조건문) >

  • 주어진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조건에 맞는 상황을 수행할 때 쓴다.
  • if 조건문에서 '조건문'이란 참과 거짓을 판단하는 문장이다.

 

비교연산자 

x == y x와 y가 같다.
x != y x와 y가 같지 않다.
x >= y x가 y보다 크거나 같다.
x <= y x가 y보다 작거나 같다.

 

x or y x와 y 둘 중 하나만 참이어도 참이다.
x and y x와 y 모두 참이어야 참이다.
not x x가 거짓이면 참이다.

※ x앞에 not이 붙으면 x의 반대

 

 

if문 예시

mbti = input(f"mbti: ")

if mbti == "INTJ":
    print("전략가.")
elif mbti == "INTP":
    print("발명가.")
elif mbti == "ENTJ":
    print("지도자")
elif mbti == "ENTP":
    print("사색가")
else:
    print("나중에 더 추가하겠습니다")
실행시 사용자에게 직접 입력을 받는 창이 뜨며 사용자가 입력한대로 실행된다. 만약 INTJ라고 입력했다면
if mbti 에서 '전략가'라는 문구를 그 외에 INTP, ENTJ, ENTP 문구를 입력했을시에는
elif mbti 에서 해당 문구에 대한 print() 괄호 안에 있는 내용이 출력된다. 
그 외의 문구를 입력했을 시에는 else에 해당하는 '나중에 더 추가하겠습니다.' 라는 문구가 출력된다.

 

elif는 이전 조건문이 거짓일 때 수행. elif는 개수제한 없이 이용가능

 

 

 

반복문

  • 반복문은 특정 코드블록을 여러번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반복작업에 유용함.

 

< for 반복문>

  • 시퀀스(리스트, 튜플, 문자열 등)의 각 항목에 대해 반복을 수행.

 

* 기본 구조

  • for 변수 in 시퀀스:

 

* for문 예시

scores = [90, 25, 67, 45, 80]   # 학생들의 시험 점수 리스트

number = 0   # 학생에게 붙여 줄 번호

for score in scores:   # 90, 25, 67, 45, 80을 순서대로 score에 대입
    number += 1
    if score >= 60:
        print(f"{number}번 학생은 합격입니다.")
    else:
        print(f"{number}번 학생은 불합격입니다.")
출력 결과

1번 학생은 합격입니다.
2번 학생은 불합격입니다.
3번 학생은 합격입니다.
4번 학생은 불합격입니다.
5번 학생은 합격입니다.

 

 

 

* range 함수

  • 숫자 리스트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add = 0 
for i in range(1, 11): 
     add = add + i 
 
print(add)
출력결과

55가 나온다. range(1, 11)은 1이상 11미만의 숫자로 출력된다. range(이상, 미만)

 

 

< While 반복문>

  • 문장을 반복해서 수행해야할 경우 사용. 조건이 참일 동안 코드를 반복 실행.

* 기본 구조

  • while 조건:

* while 문 예시

count = 0
while count < 10:
    count += 1
    print(f"숫자를 {count}번 셌습니다.")
    if count == 10:
        print("숫자를 다 셌습니다")
출력결과

숫자를 1번 셌습니다.
숫자를 2번 셌습니다.
숫자를 3번 셌습니다.
숫자를 4번 셌습니다.
숫자를 5번 셌습니다.
숫자를 6번 셌습니다.
숫자를 7번 셌습니다.
숫자를 8번 셌습니다.
숫자를 9번 셌습니다.
숫자를 10번 셌습니다.
숫자를 다 셌습니다.

 

 

* 무한루프

  • while 문으로 구현 가능하다. 종료조건이 없어 영원히 반복되는 루프이다. 
  • while문이 true이면 무한반복되기 때문에 반드시 종료조건을 만들어줘야 한다.
  • → 거짓이 되는 시점을 만들거나 break문 사용

 

< 반복문 제어 >

  • break → 반복문을 즉시 종료.
  • continue →  반복문의 나머지 부분을 건너뛰고 처음(조건문)으로 돌아가 다음 반복을 진행.
  • else  → 반복문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후에 실행.

 

 

기억하기

if, while, for문 쓰고 반드시 콜론 ( : ) 붙이기.
들여쓰기에 주의하기 (tap키를 활용)
a % 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것.
2**3 은 2의3승으로 2의 세제곱.
배열은 연속된 메모리 공간. 변수는 메모리 공간.
input() 명령값의 반환값은 기본 문자열!
float()는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할 때 사용!
파이썬은 숫자를 0부터 센다!
\n은 줄바꿈 문자

 

'데이터 분석 p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das 데이터 정렬, 필터링, 그룹화, 집계  (0) 2025.02.09
Pandas 기초  (0) 2025.02.09
함수, 클래스, 모듈과 패키지  (0) 2025.02.09
파이썬 개념 이해  (0) 2025.02.08
그로스 마케팅 개념  (0)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