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기본 문법 이해
- 코드가 모이면 함수
- 함수가 모이면 라이브러리
- 라이브러리와 라이브러리가 모이면 프레임워크
- 변수 = 메모리 공간
- 파이썬은 메모리 공간의 길이를 명시적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부여
- 여러 변수에 한번에 값 할당 가능 (ex. x, y, z = 1, 2, 3)
* 변수
변수타입
- 정수형 - 0을 포함한 +, - 있는 숫자
- 실수형 - 소숫점이 있는 숫자
- 문자열
- 불리언 - True or False
변수 이름 규칙
- 영문자(대소문자 구분) , 숫자, 밑줄(_) 로 구성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 공백을 포함할 수 없음
f 문자열 포매팅 (가장 쉬운 포매팅 방법)
- 문자열 앞에 f 붙이기
name = '홍길동'
age = 30
f"나의 이름은 {name}입니다. 나이는 {age}입니다."
'나의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나이는 30입니다.'
input() →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을 받고 싶을 때
len() → 데이터(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의 길이(크기)를 반환
set() → 중복을 제거하거나 집합 연산(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등)을 수행할 때 사용
float() → 정수, 문자열을 실수로 변환할 때 사용. 특히 사용자 입력값을 숫자로 변환할 때 유용.
append() → 리스트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고 싶을 때
< 중요 내장 자료형 >
* 리스트
- 순서가 있는 변경 가능한 자료형
- 대괄호 [ ] 사용
* 튜플
- 순서가 있는 변경 불가능한 자료형
- 소괄호 ( ) 사용
* 딕셔너리
- 키와 밸류값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구조
- 중괄호 { } 사용
dic = {'name': 'kim, 'phone': '010-9876-1234', 'birth': '1226'}
* 집합 (set)
- 순서가 없고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중복을 제거할 때 유용)
- set() 또는 중괄호 { } 사용, 딕셔너리처럼 키-밸류로 이뤄져 있지 않음.
- 교집합( & ), 합집합( | ), 차집합( - )
기억하기
a == 1 → a와 1이 같다면 ( a가 1인지 확인하는 비교 연산자 )
a += 1 → 현재 변수 a의 값에 1을 더한 후, 다시 a에 저장. ( a = a + 1의 축약)
자료형에서 1은 참이고 0은 거짓이다.
'데이터 분석 p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das 데이터 정렬, 필터링, 그룹화, 집계 (0) | 2025.02.09 |
---|---|
Pandas 기초 (0) | 2025.02.09 |
함수, 클래스, 모듈과 패키지 (0) | 2025.02.09 |
if문(조건문), for문, while문(반복문) (0) | 2025.02.09 |
그로스 마케팅 개념 (0) | 2025.02.08 |